슬기로운 자본주의 생활법

안녕하세요 서대리입니다. 연금저축펀드와 IRP, ISA 등 절세계좌를 적극 이용하는 구독자님이라면 국내상장 해외 ETF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계실 겁니다. 절세계좌에서는 VOO나 SCHD 대신 ACE 미국S&P500이나 SOL 미국배당 다우존스처럼 국내상장 해외 ETF만 투자할 수 있기 때문이죠.

그리고 이때 많은 분들이 하시는 고민은 “어떤 자산운용사의 ETF를 사야할까” 입니다. 투자성향이나 목표, 기간에 따라 다르겠지만 연금계좌에서 모아갈 종목은 크게 S&P500이나 나스닥 ETF, SCHD 3가지 중 하나를 고르거나 섞어 투자하면 된다는 것에는 대부분 동의하지만, 어떤 S&P500 ETF에 투자하면 좋을 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갈리기 때문이죠. 

 

일단 국내상장 S&P500 ETF만 해도 종류가 엄청 많습니다. TIGER, KODEX, ACE, KBSTAR, SOL 등 다양하죠. 요즘 대세인 한국판 SCHD는 SOL, TIGER, ACE가 치열하게 경쟁 중이고 실제로 많은 분들이 각종 비용이나 시가배당률, 괴리율, 추적오차 등을 비교하면서 투자할 ETF를 선택하십니다.


특히 ETF 총비용을 종목선정 핵심 지표로 많이 참고하시는데요. 구독자님들 모두 잘 알고 계시듯이 국내상장 ETF 진짜 총비용을 확인하려면 자산운용사의 ETF 운용보수에다가 숨어있는 비용인 기타비용과 매매중개수수료를 합쳐야 합니다.

 

그래서 3가지 비용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금융투자협회 사이트를 주로 비교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비용도 ETF가 상장한 지 1년이 안됐으면 총비용이 아니라 100% 정확하다고 할 수 없지만 투자설명서보다 여기가 더 업데이트 빠르다보니 국내상장 ETF별 총비용 비교할 때는 서대리 역시 금융투자협회를 참고합니다.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금융투자협회 ETF 총비용 조회 사이트로 바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S&P500이나 나스닥, SCHD처럼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상장 해외 ETF 투자할 때는 운용보수 외 기타비용을 꼭 확인하는 편인데, 이 타이밍에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바로 원조 미국상장 ETF들인 SPY, VOO, QQQ, SCHD도 ETF 운용보수 외 기타비용과 매매중개수수료가 있을까? 라는 궁금증이죠. 대부분 당연히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국내상장 ETF들의 진짜 총비용 존재여무도 처음에는 대부분 몰랐고 별도 사이트에서 확인해야하는 것처럼 "혹시 미국 ETF들도 그런거 아닐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거기다가 국내상장 ETF들에 발생하는 기타비용이나 매매중개수수료도 따지고 보면 자산운용사가 먹는 돈이 아니라 지수사용료나 기초지수를 잘 따라가기 위한 주식 거래비용, 환전 수수료 등 자연스러운(?) 비용인 만큼 ETF를 운용한다면 필연적으로 운용보수 외 추가비용이 발생합니다.

 

물론 한국인이 한국 주식 사는게 미국인이 한국 주식 사는 것보다 비용 측면에서 유리한 것처럼 미국 자산운용사의 미국 주식 ETF 운용 관련 비용 비중이 더 적을 수 밖에 없지만요.


그래서 SPY와 VOO, IVV, SCHD 홈페이지에 직접 들어가서 ETF 운용보수 외 추가비용이 있는 지 하나씩 확인해봤습니다. 그 결과, 주요 미국상장 ETF들의 총비용은 각종 사이트에 공지된 것과 동일했습니다. 좋은 의미로 반전은 없었죠.

ETF 총비용은 누구나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서대리 포트 비중 1등인 VOO 총비용을 예시로 함께 확인해보겠습니다. 참고로 각 자산운용사별로 사이트 구조가 조금씩 다르긴 하지만 용어는 비슷하기 때문에 이 단어들을 찾아가면 됩니다.

구글에서 VOO를 검색한 다음, 뱅가드의 VOO 사이트로 접속합니다. 그 다음 Fund literature 메뉴를 클릭하고 리포트 보기를 한번 더 클릭합니다. 그 다음 마지막으로 Summary Prospectus을 열어보면 VOO 비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PDF파일을 쭉 내리다보면 VOO 총비용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VOO 운용보수는 0.02%고 그 외 비용을 전부 합쳐서 0.01%입니다. 대부분 VOO 수수료가 0.03%라고 알고 있는데 실제로는 0.02%였네요. 비용 구조가 국내상장 ETF와 완전 똑같지는 않겠지만 Other Expenses 0.01%가 기타비용과 매매/중개수수료에 해당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VOO 홈페이지로 바로 이동)

 

다만 아래 문구처럼 표에 없는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고 하는만큼 여기도 약간의 숨어있는 비용이 있는 것 같긴합니다. 대신 미국에서 미국주식을 사는 것이기 때문에 국내상장 ETF보다는 비율이 적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그리고 아래 내용을 보면 숨어있는 비용이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You may pay other fees, such as brokerage commissions and other fees to financial intermediaries, which are not reflected in the table and example below.

 

바로 투자기간 별 비용 예시 정보 덕분입니다. 어디서 많이 본 구조죠? 바로 국내상장 ETF 투자설명서에 있는 총비용 예시표와 비슷한 내용입니다. 투자기간별 예상 비용을 표시해놨습니다.

$10,000를 VOO에 투자했을 때, 1년 후 비용은 $3, 3년 후에는 $10, 10년 후에는 $39입니다. 근데 이렇게 보면 조금 이상해보입니다. 총비용이 0.03%라고 했으면 3년 후에는 $9, 10년 후에는 $30여야하는데 더 높게 나오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 부분도 크게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비용 예시는 VOO가 매년 5% 수익을 제공한다는 가정 하에 계산했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늘어납니다. 투자 첫해는 $10,000의 0.03%인 $3을 비용으로 내지만, 투자 2년차에는 $10,500의 0.03%인 $3.15가 비용으로 나갑니다. 물론 실제로는 투자 1년차부터도 5% 수익상승으로 비용이 더 나오고, 투자 2년차 비용 계산할 때는 1년차 비용을 빼고, 일별로 계산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만, 분명한 사실은 VOO 총비용은 0.03%라는 점입니다.


국내상장 ETF는 금융투자협회에서 조회해보거나 상장한 지 1년 이상 된 투자설명서를 봐야 정확한 ETF 총비용을 알 수 있는만큼 차이가 있습니다. 참고로 상장한지 오래된 TIGER 미국나스닥100의 투자설명서를 살펴보면 대략적인 총비용이 0.19%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에서 살펴보면 총비용보다는 조금 낮게 나오지만 얼추 비슷합니다.

 

그리고 여기도 마찬가지로 매년 5% 수익이 난다는 가정으로 총비용을 계산하기 때문에 투지기간이 늘어날수록 총비용은 조금씩 더 늘어납니다. 

 

 

#

VOO와 똑같이 S&P500을 추종하는 SPY와 IVV 총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SPY

 

IVV

 

#

이런 식으로 주요 미국 상장 ETF들의 총비용을 확인해보겠습니다. 우선 나스닥 ETF인 QQQ입니다. 인베스코의 QQQ 소개페이지로 들어가서 마찬가지로 Prospetus를 찾아줍니다. 여기는 다른데랑 조금 다르게 여기에 숨어있네요.

 

그럼 마찬가지로 문서 하나를 확인할 수 있는데, 11페이지에 QQQ 총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QQ의 총비용은 0.20%가 맞지만 자산운용사의 보수는 0.04% 수준이고, 나스닥거래소에 내는 지수사용료가 0.08%, 마케팅 비용 0.08%, 기타비용 0%라고 합니다. QQQ처럼 항목별로 알려주는 것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참고로 항목별로 주석이 있는데 마케팅 비용은 통상적인 광고 비용인 것 같고, 기타 운용비용은 0.005% 이내라고 합니다. 그나저나 이렇게 보니 나스닥거래소나 S&P글로벌, MSCI 같은 지수사업자들이 정말 얼마나 돈을 쓸어담고 있는지 체감할 수 있는 자료입니다. 요새 시장이 안좋다보니 이런 자본주의 근본 기업들도 주가가 많이 내려왔는데 또 투자 유혹이 몰려오네요.

 

 

#

그 다음은 많은 분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배당성장 ETF, SCHD 총비용을 살펴보겠습니다. 마찬가지로 구글에서 SCHD를 검색하고 찰스슈왑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Summary Prospectus를 찾아보면 SCHD 총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CHD도 다행히 별도의 추가비용 없이 0.06%가 전체 비용입니다. 물론 여기에도 별도 비용이 있을 수 있다고 적혀있지만 밑의 비용 예시를 보면 0.06% 수준으로 나오는만큼 큰 차이는 없어보입니다.

 

앞으로도 SCHD는 안심하고 모으면 되겠네요.

 

 

#

지금까지 구독자님들께서 많이 투자하시는 S&P500과 나스닥, SCHD ETF의 총비용을 살펴봤습니다. 이 외에 구독자님들께서 투자하거나 궁금한 ETF가 있다면 이번 영상처럼 자산운용사 홈페이지에서 Prospectus 문서를 찾아보면 됩니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같은 지수를 추종하는 ETF라면 미국에 상장된 VOO나 QQQ, SCHD 비용이 국내상장 ETF들보다 훨씬 저렴합니다. 실제로 나스닥 ETF인 QQQ를 제외하면 S&P500 ETF나 SCHD 총비용 차이는 국내 ETF가 0.1~0.2% 정도 높습니다.

 

규모가 큰 국내 ETF 중 유일하게 ACE 미국나스닥100만 QQQ보다 낮은 비용을 자랑합니다.

 

 

물론 미국에 상장된 ETF 매수할 때 발생하는 거래수수료와 달러환전 등 부가비용을 감안하면 이 정도 차이는 크게 의미 없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투자기간이 길어질수록 비용도 복리로 불어나기 때문에 둘다 일반계좌에서 투자한다면 기본적으로는 미국상장 ETF가 유리합니다. 세금 측면에서도 그렇고요.

 

하지만 항상 강조하는 것처럼 연금저축펀드나 IRP, ISA에서 국내상장 ETF를 모아간다면 이야기가 완전 달라집니다. 세액공제와 과세이연,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시 저율과세라는 혜택 3종 패키지 효율이 국내상장 ETF의 아쉬움을 전부 커버하고도 남기 때문이죠.

 

누구나 미래 배당금을 계산해볼 수 있도록 무료배포했었던 "나만의 배당금 로드맵 Ver3.0"에서 확인해봤듯이, 매년 600만원씩 25년 동안 일반계좌에서는 SCHD를, 연금저축펀드에서는 원조 SCHD보다 배당률과 배당성장률이 0.2%p 낮다고 가정한 한국판 SCHD를 투자했을 때, 미래에 쓸 수 있는 세후 배당금은 연금저축펀드+한국판 SCHD가 더 많습니다.

 

25년 후 일반계좌 세후 배당금은 월 175만원이지만, 연금계좌는 월 208만원으로 33만원이나 더 많습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날수록 배당금 차이는 점점 커집니다. 추가 투자를 전혀 하지 않아도 말이죠. 심지어 매년 세액공제를 안받는다고 가정해도 미래 세후 배당금은 연금저축펀드 + 한국판 SCHD가 더 좋습니다.

 

 

 

 

#오늘의 결론

기승전 연금저축펀드

 

이 글을 공유합시다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